전송 캡슐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Server에서 본문을 Buffer로 나눈고 Buffer를 Stream단위(L7-L5)로 구분하여 I/O한다.
그리고 L4에서는 Stream을 Segment단위로 나누고
L3에서는 Segment를 Packet단위로 나누다.
L2에서 Frame단위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
이렇게 frame1을 보내면 Client측의 Ack2(1+1)를 기다린다.
수신은 서버에서 캡슐화했던 데이터를 반캡슐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수신후 ack2를 서버측에 전송한다.
Network 장애로는
Socket에서 Window size 네트워크 속도와 시스템에서의 Receive 속도가 달라 전송문제가 일어나기도한다.
Outofframe 1-2-4-3 뒤바뀐 frame
재전송, loss 가 있다.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DR와 Subnet Mask (1) | 2024.07.14 |
---|---|
IPv4 Header 형식 (0) | 2024.07.14 |
L3 인터넷 계층(2) (3) | 2024.07.14 |
L3 인터넷 계층(1) (0) | 2024.07.14 |
L2에서의 Switch (0)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