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12

L4 부하분산(Load Banlancing)

Web server에서 이중화 또는 n중화된 server#1으로 전송한다.쉽게 RoundRobin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서버의 부하, CPU사용량, RAM, HDD 정보를 확인(Health Check)하여 제어 및 전송한다.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 대규모 부하 분산 - DNS 체계를 활용한다. - 각 서버들의 컨텐츠를 CDN을 활용하여 동기화 한다(Content Delivery network Service) - 부하상태, health check, Client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한다.

네트워크 2024.07.15

L4 TCP와 UDP

TCP에만 연결(Connection, Session) 개념이있다.연결은 결과적으로 순서번호로구현된다.연결은‘상태(전이)’ 개념을동반한다. TCP 3 way handshakeSeq번호 교환, MSS(Maximum Segment Size)를 보냄.ACK는 SYN Seq +1을 보내야한다. 재전송 타이머 만료후에도 확인, 응답 받지 못한 경우 세그먼트를 재전송한다 RTO(Retransmission Time-Out) 값은 두 배로 증가한다. 예를들어) 1초> 2초> 4초> 8초> 16초 간격으로 재전송한다. 보통 최대 5회 재전송을 시도하고 5회 이상 모두 실패 할 경우 보통 전송 오류가 발생한다 TCP Header TCP 장애 유형- Packet Loss 패킷이 유실된 경우- TCP Out of order 패..

네트워크 2024.07.14

DHCP와 ARP 프로토콜

인터넷 사용전에 해야할 설정IP주소, Subnet Mask, Gateway IP 주소, DNS 주소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체계는 주소를 할당하는 서버와 할당받으려는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복잡 인터넷 설정을 자동으로 해준다.- 내가 사용할 IP를 서버가 알려준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ARP는 IP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내려할 때, G/W의 Mac 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ARP Request가 발생하며 이에 대응하는 Reply로 MAC주소를 알 수 있다.

네트워크 2024.07.14

TCP / IP 송수신 구조

전송 캡슐화 작업이 이루어진다.Server에서 본문을 Buffer로 나눈고 Buffer를 Stream단위(L7-L5)로 구분하여 I/O한다.그리고 L4에서는 Stream을 Segment단위로 나누고 L3에서는 Segment를 Packet단위로 나누다.L2에서 Frame단위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이렇게 frame1을 보내면 Client측의 Ack2(1+1)를 기다린다. 수신은 서버에서 캡슐화했던 데이터를 반캡슐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데이터를 수신후 ack2를 서버측에 전송한다. Network 장애로는Socket에서 Window size 네트워크 속도와 시스템에서의 Receive 속도가 달라 전송문제가 일어나기도한다.Outofframe 1-2-4-3 뒤바뀐 frame재전송, loss 가 있다.

네트워크 2024.07.14

L3 인터넷 계층(1)

LAN과 WAN의 경계 그리고 BroadcastBradcast은 일대다 관계의 통신을 의미하며Unicast는 일대일 관계의 통신을 의미한다. Mac주소는 주로 48bit로 구성되어있다.BroadCast 주소는 Mac주소에서 FF-FF-FF-FF-FF-FF 를 의미한다  IP주소는 주로 Ipv4를 의미하며 32bit, 8bit * 4로 구성되어있다.Ip주소는 Network ID (24bit) / Host ID (8bit) 로 구성되어있다.Network Id는 Network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이며Host Id는 네트워크안에 장비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이다.

네트워크 2024.07.14
반응형